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주식 물타기 계산법 평단가 낮추는 수학 공식

popoint33 2025. 8. 11. 14:51

목차



    주식 물타기 계산법 완벽 가이드: 평단가 낮추는 수학 공식

    🤔 물타기가 뭐예요?

    **물타기(평균단가 하향 매수)**란 보유한 주식이 떨어졌을 때, 더 낮은 가격에 추가로 사서 평균 매수가를 낮추는 투자 전략입니다.

    간단한 예시

    • 삼성전자를 70,000원에 10주 매수
    • 주가가 60,000원으로 하락
    • 60,000원에 10주 추가 매수
    • 결과: 평균 매수가가 65,000원으로 하락!

    📊 물타기 계산 공식

    🧮 기본 공식

    새로운 평균단가 = (기존 매수금액 + 추가 매수금액) ÷ 총 보유주식수
    

    단계별 계산법

    1. 기존 매수금액 = 기존 주가 × 기존 주식수
    2. 추가 매수금액 = 추가 주가 × 추가 주식수
    3. 총 매수금액 = 기존 매수금액 + 추가 매수금액
    4. 총 보유주식수 = 기존 주식수 + 추가 주식수
    5. 새로운 평균단가 = 총 매수금액 ÷ 총 보유주식수

    💰 실전 계산 예시

    📈 예시 1: 기본적인 물타기

    상황: 카카오 주식 투자

    • 1차 매수: 90,000원 × 20주 = 1,800,000원
    • 2차 매수: 80,000원 × 10주 = 800,000원

    계산 과정:

    • 총 매수금액: 1,800,000원 + 800,000원 = 2,600,000원
    • 총 보유주식: 20주 + 10주 = 30주
    • 새 평균단가: 2,600,000원 ÷ 30주 = 86,667원

    결과: 평균단가가 90,000원 → 86,667원으로 3,333원 하락!

    📈 예시 2: 여러 번 물타기

    상황: 네이버 주식 3번에 걸쳐 매수

    차수 매수가 주식수 매수금액 누적금액 누적주식 평균단가

    1차 300,000원 10주 3,000,000원 3,000,000원 10주 300,000원
    2차 250,000원 10주 2,500,000원 5,500,000원 20주 275,000원
    3차 200,000원 15주 3,000,000원 8,500,000원 35주 242,857원

    결과: 평균단가가 300,000원 → 242,857원으로 57,143원 하락!

    📈 예시 3: 불균등 물타기

    상황: 처음보다 더 많이 추가 매수

    1차 매수:

    • 현대차 50,000원 × 10주 = 500,000원

    2차 매수 (주가 20% 하락):

    • 현대차 40,000원 × 25주 = 1,000,000원

    계산:

    • 총 매수금액: 500,000원 + 1,000,000원 = 1,500,000원
    • 총 보유주식: 10주 + 25주 = 35주
    • 새 평균단가: 1,500,000원 ÷ 35주 = 42,857원

    🧮 물타기 효과 계산기

    손익분기점 계산

    현재 평균단가에서 수익을 내려면 주가가 얼마까지 올라야 할까요?

    공식: 손익분기점 = 평균단가 + (평균단가 × 수수료율 × 2)

    예시: 평균단가 80,000원, 수수료 0.015%

    • 손익분기점 = 80,000원 + (80,000원 × 0.03%) = 80,024원

    목표 수익률 달성 주가

    공식: 목표가 = 평균단가 × (1 + 목표수익률 + 수수료율×2)

    예시: 평균단가 80,000원에서 10% 수익 목표

    • 목표가 = 80,000원 × (1 + 0.1 + 0.0003) = 88,024원

    📱 물타기 계산 도구 활용법

    증권사 앱 계산기 기능

    대부분의 증권 앱에서 제공하는 기능들:

    • 평균단가 계산기: 추가 매수 시 평단가 자동 계산
    • 손익 시뮬레이션: 목표가 설정 시 수익률 계산
    • 매수 비중 분석: 포트폴리오 내 비중 확인

    엑셀로 만드는 물타기 계산표

    A열: 매수차수 (1차, 2차, 3차...)
    B열: 매수가격
    C열: 매수수량  
    D열: 매수금액 (=B×C)
    E열: 누적금액 (=SUM($D$1:D1))
    F열: 누적수량 (=SUM($C$1:C1))
    G열: 평균단가 (=E/F)
    

    🎯 효과적인 물타기 전략

    1. 비율 물타기 (피라미드 매수)

    방법: 주가가 일정 비율 하락할 때마다 추가 매수

    예시: 10% 하락마다 물타기

    • 100,000원에 10주 매수
    • 90,000원에 10주 추가 → 평단가 95,000원
    • 81,000원에 10주 추가 → 평단가 90,333원

    2. 금액 균등 물타기

    방법: 매번 같은 금액으로 추가 매수

    예시: 매번 100만원씩 투자

    • 1차: 50,000원 × 20주 = 100만원
    • 2차: 40,000원 × 25주 = 100만원
    • 평균단가: 200만원 ÷ 45주 = 44,444원

    3. 역피라미드 물타기 (하락폭에 따라 증량)

    방법: 하락폭이 클수록 더 많은 수량 매수

    예시: 하락률에 비례해서 증량

    • 1차: 100,000원 × 10주
    • 2차(-10%): 90,000원 × 15주
    • 3차(-20%): 80,000원 × 20주

    ⚠️ 물타기 주의사항과 위험요소

    🚨 치명적인 위험들

    1. 하락장에서 더 큰 손실: 주가가 계속 떨어지면 손실 확대
    2. 자금 고갈: 추가 투자금이 부족해져 다른 기회 상실
    3. 심리적 압박: 손실이 커지면서 정상적 판단력 상실
    4. 편향된 투자: 한 종목에 과도한 집중

    💡 안전한 물타기 원칙

    1. 총 투자금의 1/3 룰: 처음 매수는 총 예산의 1/3만
    2. 3분할 매수: 3번에 나누어 물타기 진행
    3. 손절선 설정: 평단가 기준 -20% 손절선 설정
    4. 우량주 한정: 재무건전성 좋은 기업만 선택

    📊 물타기 vs 다른 전략 비교

    물타기 vs 분할매수 vs 손절

    전략 장점 단점 적합한 상황

    물타기 평단가 하락, 수익률 개선 추가 손실 위험 우량주 일시적 하락
    분할매수 위험 분산 기회비용 발생 시장 방향성 불확실
    손절매 손실 확정으로 리스크 차단 심리적 고통 하락 추세 확실시

    🤓 물타기 성공 사례 vs 실패 사례

    ✅ 성공 사례

    코로나19 당시 삼성전자 물타기

    • 2020년 3월: 45,000원 매수
    • 2020년 3월 하순: 42,000원 추가 매수
    • 2021년 1월: 85,000원까지 상승
    • 결과: 큰 수익 실현

    ❌ 실패 사례

    테마주 급등 후 물타기

    • 바이오주 200,000원 매수
    • 150,000원에 물타기 → 평단 175,000원
    • 100,000원에 또 물타기 → 평단 150,000원
    • 결과: 50,000원까지 하락하여 큰 손실

    🎲 물타기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A: 성공적인 물타기

    조건: LG전자 주식, 총 300만원 예산

    단계 주가 투자금액 주식수 평단가 누적손익

    1차 매수 120,000원 100만원 8.3주 120,000원 0%
    2차 매수 100,000원 100만원 10주 109,200원 -9%
    3차 매수 90,000원 100만원 11.1주 102,400원 -11.5%
    회복 시 130,000원 - 29.4주 102,400원 +27%

    시나리오 B: 실패한 물타기

    조건: 테마주, 총 300만원 예산

    단계 주가 투자금액 주식수 평단가 누적손익

    1차 매수 50,000원 100만원 20주 50,000원 0%
    2차 매수 35,000원 100만원 28.6주 41,200원 -18%
    3차 매수 25,000원 100만원 40주 33,800원 -26%
    현재 15,000원 - 88.6주 33,800원 -56%

    💡 초보자를 위한 물타기 체크리스트

    물타기 전 확인사항

    • [ ] 해당 기업의 펀더멘털이 건전한가?
    • [ ] 업종 전체의 하락인가, 개별 기업 문제인가?
    • [ ] 추가 투자할 여유 자금이 충분한가?
    • [ ] 원래 투자 논리가 여전히 유효한가?
    • [ ] 총 투자 비중이 과도하지 않은가?

    물타기 중 관리 포인트

    • [ ] 정해진 횟수와 금액 내에서만 진행
    • [ ] 매수 이유를 명확히 기록
    • [ ] 손절선을 명확히 설정하고 준수
    • [ ] 감정적 판단 금지
    • [ ] 다른 투자 기회 모니터링 지속

    🧠 물타기 심리학

    흔한 심리적 함정들

    1. 매몰비용 오류: "이미 많이 샀으니 계속 사자"
    2. 확증편향: "좋은 뉴스만 찾아보기"
    3. 도박꾼의 오류: "계속 떨어졌으니 이제 오를 것"
    4. 손실회피 편향: "손실 확정하기 싫어서 계속 홀딩"

    합리적 판단 방법

    1. 객관적 데이터 중심 판단
    2. 제3자 관점에서 평가
    3. 정해진 원칙 철저히 준수
    4. 정기적인 포트폴리오 리뷰

    마무리: 물타기, 이것만 기억하세요!

    ✅ 공식 숙지: (총 매수금액) ÷ (총 보유주식) = 평균단가
    ✅ 분할 투자: 처음에 전액 투자 금지, 3분할 원칙
    ✅ 우량주 한정: 펀더멘털 좋은 기업만 선택
    ✅ 손절선 설정: 평단가 기준 -20% 지점에서 손절
    ✅ 감정 통제: 정해진 원칙과 계획 철저히 준수

    물타기는 양날의 검입니다. 올바르게 사용하면 평균단가를 낮춰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잘못 사용하면 손실을 키우는 독이 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계획적이고 합리적인 접근입니다. 감정에 휩쓸리지 말고, 정해진 원칙 내에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투자 전략에 대한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모든 투자는 원금 손실 위험이 있으며,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하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티스토리툴바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